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우주의 기본단위 은하 우주의 기본단위 은하 은하의 나이는 몇 살일까 그럼 은하는 언제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빅뱅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 약 30만 년 후에 수소와 헬륨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태초의 공간을 가득 채웠던 원시 구름이 서서히 중력으로 뭉쳐지기 시작하면서 우주의 거대구조가 모습을 드러내기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균일하게 퍼져 있던 이 가스구름이 중력으로 점차 뭉치면서 서서히 회전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말 그대로 우주적인 규모였다. 조그만 태양계를 만든 어버이 원시 구름의 지름이 32조km, 약 3광년의 크기였다고 하니, 은하를 이룰 만한 원시구름의 크기란 상상을 뛰어넘는 규모였을 것이다. 원시구름들이 암흑물질 헤일로로 모여 원시은하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거의 왜소은하들이었다... 2025. 2. 2.
별들의 생애 별들의 생애 별들도 태어나고 늙고 죽는다. 밤하늘의 들의 보면 영원히 그렇게 존재할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들도 인간처럼 태어나서 살다가 늙으면 죽음을 맞는다. 별들이 태어나는 곳은 성운이라고 불리는 원자구름 속이다. 대폭발로 탄생한 우주는 강력한 복사와 고온 고밀도의 물질로 가득 찼고, 우주 온도가 점차 내려감에 따라 가장 단순한 원소인 수소와 헬륨이 먼저 만들어져 우주공간을 채웠다. 그러나 별을 잉태할 씨앗이 될 수 있는 약간의 밀도 편차가 존재했다. 우주 탄생으로부터 약 2억 년이 지나자 원시 수소가스는 인력의 작용으로 군데군데 덩어리지고 뭉쳐져 수소구름을 만들어갔다. 이것이 우주에서 천체라 불릴 수 있는 최초의 물체로서, 별의 씨앗이라 할 수있다. 이윽고 대우주는 엷은 수.. 2025. 2. 1.
태초의 우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태초의 우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우주의 팽창이 거역할 수 없는 대세가 되자 몇몇 천문학자들은 최초의 순간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은하들이 서로 멀어져가는 과정을 거꾸로 되돌린다고 가정하면 우주의 시작 지점까지 되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우주 팽창의 기록 필름을 거꾸로 돌리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 138억 년 전 빅뱅이라는 사건이 있었다는 것은 이제 누구도 부정하기 어려운 정설이 되었지만, 과연 어떻게 빅뱅이 일어나게 되었는가? 하는 데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1980년대에 미국의 알렉산더 빌렌킨과 스티븐 호킹이 발표한 이론으로, 우주는 '무(無)에서 탄생했다'는 주장이다. 양자 요동에 의해 극미한 공간에 물질이 무한대의 밀도로 응축된 원자,.. 2025. 2. 1.
우리나라의 태양중심설 전래과정 우리나라의 태양중심설 전래과정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전설(地轉說)을 주장한 한자는 김석문(金錫文, 1658-1735)이다. 그는 1697년에 자신이 편찬한 『역학이십사도총해(易學二十四圖總解)』에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상대적인 크기를 제시하고,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면서 일 년에 총 36번의 회전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태양 주위를 행성들이 공전하고 있으며, 이것은 다시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고 설명했는데. 이것은 티코의 행성계에서 볼 수 있는 구조다. 그는 처음에는 중국 성리학을 기초로 천문 현상을 이해하려 했다. 그러나 청나라에서 활동했던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 자크 로(Jacques Rho, 1593-1638)의 『오위역지(五緯曆指)를 접하면서 생각이 바.. 2025. 2. 1.
근대 천문학 등장 시기의 기독교의 모습은 어떠했는가? 근대 천문학 등장 시기의 기독교의 모습은 어떠했는가?        중세 가톨릭교회 당국의 권위는 막강한 것이었는데, 교황을 비롯한 추기경들의 권세는 국경이 존재하지 않았다. 교회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당국의 영향력이 발휘되었다.    중세 말에 접어들자 본연의 신앙으로부터 벗어나 조금씩  변질되기 시작했다. 당시 추기경들은 세력을 규합하여 당파를 이루었고, 교황은 선출되자마자 자신의 옹호 세력을 키우기에 여념이 없었다. 이런 과정에서 무엇보다 절실했던 것은 자금(資金)이었고, 자금 확보를 위해 시행된 조치들은 갖가지 폐단을 가져왔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악폐가 면죄부였다. 시골 지역의 성직자들이 농민들에게 면죄부를 팔아 벌어들인 돈으로 자신들을 구원할 면죄부를 교황청으로부터 구입하는 어처구니없는 상.. 2025. 2. 1.
천문학에 관한 두 가지 의문 천문학에 관한 두 가지 의문 중세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이 고전(古典)을 통해 진리를 찾으려 했던 이유는?     옛날 사람들은 '지혜(智慧)'라는 것이 새롭게 발견한 것에서 획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과거에 있었던 것들을 다시 찾아냄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여겼다. 이런 사고방식은 매우 종교적인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은 일단 신이 창조한 최초의 인간인 아담이 이 세상 모든 것들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세웠다. 이러한 가정의 근거는 『창세기(創世記)』 제2장 19절~20절 (신께서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아담이 무엇이라고 부르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로 이끌어 가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르는 것이 곧 그 이름이 되었더라. 아담이.. 2025.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