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이야기36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의 출판 동기는 무엇인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의 출판 동기는 무엇인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의 표지를 넘기면 먼저 나오는 것이 바로 서문과 교황 바오로 3세에게 바치는 헌정서다. 당시 출판되던 책들의 대부분은 의례 저자가 서문에 자신의 집필 의도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런데 나름 능력을 인정받은 학자가 교황을 위한 헌정서를 따로 추가하기라도 한다면, 저자가 어떤 사상들을 기반으로 해서 연구에 임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자신의 책이 교회 당국뿐만 아니라, 기독교 세계관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교황에게 상세하게 고(告)하는 내용까지 포함하게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의 서문은 코페르니쿠스의 의도에 상응하는 내용들이 완전하게 담기질 못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일찍이 『천구.. 2025. 1. 31.
천문학사를 이해하는데 생기는 의문들 천문학사를 이해하는데 생기는 의문들천문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주술적 목적으로 하늘을 관측하기 시작했다. 그 후 농경시대가 시작되자 달력 제작, 제례 의식, 전략 수립 등 여러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천체들의 운동에서 정합성과 규칙성을 추출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이런 작업은 그리스,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중국 등지에서 각기 다른 시기와 목적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왕국이 건설되면서 천문을 담당하는 부서가 생기는 것을 계기로 점차 체계화되었다. 하지만 천문학이 형이상학적(경험에 의해 증명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닌 것들을 다루는) 성격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학자들은 실용적인 목적 아래 관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천체들.. 2025. 1. 31.
중국과 일본의 태양중심설 전래 과정 중국과 일본의 태양중심설 전래 과정   중국   중국의 근대 과학계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 아담 샬(Johann Verbiest, 1591-1666),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1623-1688)에 이르는 3세대에 걸친 예수회 서양 학문 흡수기를 가지는데, 내부적으로는 서양 선교 세력 간의 갈등(17~18세기에는 도미니크派, 프란치스코派, 그 후 19세기 초에는 프로테스탄트 세력과의 교리 논쟁)과 외부적으로는 중국 내 반(反)서학운동 등에 의해 시달려야만 했다     원원(阮元, 1764-1849)이 1799년에 저술한 『주인전(疇人傳)』에는 중국 및 서양 천문학자 몇몇을 논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코페르니쿠스를 언급하는 대목이 있다. .. 2025. 1. 27.
영국에서 완성되는 태양중심설 영국에서 완성되는 태양 중심설    16세기에서 17세기 초 사이의 영국은 과학사적 측면에서 볼 때, 유럽 대륙의 국가들에 비해 격리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영국에서 코페르니쿠스 이론이 처음 소개된 사례는 1556년 로버트 레코드(Robert Recorde, 1512-1588)의 저서 『지식의 성(The Castle of Knowledge)』을 통해서였다. 이 책은 학생들을 위한 천문학 기본서였다. 이 책은 어떤 학자와 그의 스승 사이의 대화를 통해 내용을 하나씩 풀어가는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었는데, 전반적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을 소개하는 내용을 다루었으며,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코페르니쿠스에 대한 내용을 조금 언급하고 있다. 주된 내용은 전통적 논쟁거리였던 ‘실제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는.. 2025. 1. 27.
고대 천문학의 진화 히라프쿠스   히파르쿠스(Hipparchus, BC. 190-120)는 실용적인 목적에 중점을 두고 천체를 관측했던 바빌로니아(Babiylonia)인들의 천문학적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그 결과를 보다 세련된 학문으로 발전시킨 그리스 천문학자이다. 히파르쿠스가 등장함으로써 플라톤학파가 견지했던 "현상을 구제하라“라는 명제는 새로운 상황을 맞게 되었다. 히파르쿠스는 논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직 기하학만을 의지하고 단지 추상적으로만 천문학을 연구하는 것은 극히 잘못된 연구 행태라고 비판하면서, 실제 관측을 수행하고 그 결과들을 분석하는 것이 천문학의 가장 기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바빌로니아인들이 행했던 관측 및 결과 분석 기법을 기하학과 접목시키려 했는데, 이와 같은 그의 천체 관측의 중요성에 대한 .. 2025. 1. 27.
고대 초기 천문학자들의 우주론이란? 고대 초기 천문학자들의 우주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탈레스   탈레스(Thales, BC. 624-546)는 그리스의 식민지였던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방의 밀레토스 출신이다. 그는 최초의 유물론학파로 일컬어지는 밀레토스학파(Milesian school)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데, 기하학과 천문학에 능했다고 전해지며 일식을 예언하기도 했다. 그는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의 근원을 물이라고 간주하면서 물이 스스로 여러 변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양한 만물들이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초자연적이거나 신화적인 것에 의지하지 않고, 오로지 자연 철학적 인식으로만 현상들을 해석하려 했다. 당연히 천상계 역시 그런 사유 방식으로 이해하려 했는데, 이러한 시도는 그 이전의 학자들과는 매우 다른 것이었다.  .. 2025. 1. 27.